• Home
  • About
    • Develop2r photo

      Develop2r

      안녕하세요 IT 개발자 임기남입니다. 한걸음 한걸음 나아가는 개발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 Learn More
    • Twitter
    • Facebook
    • Instagram
    • Github
    • Steam
  • Posts
    • All Posts
    • All Tags
  • Projects
  • Algorithm

Computer Science(기사 기준)

15 Jun 2020

Reading time ~4 minutes

데이터 베이스

순수관계 연산자

1.Selection

(1)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듭니다.

(2) 가로에 해당하는 튜플을 구하는 것이므로 수평연산이라고도 합니다.

(3) 연산자의 기호는 시그마를 사용합니다.

2.Projection

(1) 선택되어진 attribute만을 추출하는 연삽입니다.

(2) 릴해당하는 attribute를 추출하는 것이므로 수직 연산자로 부릅니다.

(3) 연산자의 기호는 파이를 사용합니다.

3.Join

  • Join은 공통속성을 중심으로 2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삽입니다.

4.Division

(1) Division은 X가 Y를 포함하는 2개의 릴레이션 R(X)와 S(Y)가 있을때 R의 속성이 S의 속성 값을 모두 가진 튜플에서 S가 가진 속성을 제외한 속성만을 구하는 연산입니다.

(2) 연산자의 기호는 나누기를 사용합니다.

  • 관계해석과 관계대수
  • 관계대수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절차적 언어

  • 순수 관계 연산자 / 일반 집합 연산자

  • 관계해석 : 관계 데이터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비절차적 언어

  • 병행제어
  • 로킹기법 : 트랜잭션이 로킹 단위를 접근하기전에 lock을 요청해 lock이 되어야만 접근가능

  • 로킹 단위가 커지면 관리가 쉽지만 병행성 하락 , 작으면 관리 복잡하나 병행성 상승

  • 타임스탬프 기법 : 트랜잭션 간의 순서를 미리 선택하는 기법

VIEW

  • 가상테이블로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

  • 뷰 삭제시 casecade삭제

  • 독자적 인데스 가질 수 없다

정규화

  • 1NF -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

  • 2NF - 완전 함수적 종속

  • 3NF -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 BCNF -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 집합에 포함

  • 4NF - 다치 종속 제거

  • 5NF - 조인 종속성

릴레이션(테이블)

  • 속성 Attribute - Degree 차수

  • 개체 Tuple - Cardinality 기수

키

  • 후보키 : 유일성과 최소성 만족

  • 대체키 : 기본키로 선택되지 못한 후보키

  • 슈퍼키 : 유일성을 만족하는 키들의 집합

  • 외래키 :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되는 키

색인 순차 파일(ISAM)

  • Index Prime Overflow 영역으로 구성

  • 장 : 순차 임으 처리 모두 가능, 효율적 삭제, 삽입, 갱신이 용이

  • 단 : 기억공간이 필요하다. 접근시간이 직접 파일보다 느림

소프트웨어 공학

SW 검사 기법

  • 화이트 박스 테스트 :

  • 블랙박스 테스트 : 내부 구조나 작동 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서 sw 동작을 검사하는 방법

  • (동등 분할기법 / 경계값 분석기법 / 원인-결과 그래프 분석 / 오류 예측 기법)

  • 소프트웨어 관리 형상 관리 - 개발 과정의 변화되는 사항을 관리(버전관리)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모형

LOC방법 - 프로그램 라인 수를 평가 / COCOMO - SW복잡도 따라 산정 / Putnam - 개발 주기의 각 단계별로 요구할 인력을 분포 / FP모형 - 요구 기능을 증가시키는 인자별로 가중치를 부여.

유지 보수

완전화 보수(Perfective maintenance) : 소프트웨어 본래 기능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성능을 개선

적응 보수(adaptive maintenance) : SW의 수명 기간 중에 OS나 컴파일러같은 프로그래밍 환경 변화와 주변장치 반영

예방 보수(preventive maintenance) : 오류 발생에 대비하여 미리 예방 수단을 강구

수정 보수(Corrective maintenance) :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 수정

브룩스의 법칙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작업 적응기간과 부작용으로 인해 일정이 더욱 지연된다.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객동기’ - 객체 모델링 / 동적 모델링 / 기능 모델링 //

자료 흐름도DFD

원-프로세서 / 화살표-흐름 / 사각형-단말 / 직선-저장소 //

운영체제

교체기법

  • FIFO - 들어온 순서대로

  • LFU - 가장 적게 사용 된거 부터

  • LRU, NUR - ‘최근’ 가장 적게 사용된거 부터

  • OPT - 앞으로 가장 적게 사용될거부터

네트워크 통신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컴퓨터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전송 제어 방식 /

ISU프레임 / 정보프레임 / 감독프레임 / 비번호 프레임 /

플래그 - 주소 - 컨트롤 - 데이터 - 프레임 검사 순서 - 플래그

동작모드 3가지

NRM(Normal Respose Mode) : 정규 응답 모드 / 주국이 세션을 열고 , 종국들은 응답만

ABM(Asynchronous Balanced Mode) : 균형적 링크 구성 / 각 국이 주국이자 종국

ARM(Asynchronous Response Mode) : 종국도 전송 개시 필요시 특수한 경우에 사용

디지털 변조 방식

  • FM - 주파수 변조

  • AM - 진폭 변조

  • QAM - 진폭과 위상 변조

  • PSK - 위상 편이 편조

  • ASK - 진폭 편이 변조

  • LA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 Bus형 / Star형 / Ring형

전송 제어 문자

SOH-헤딩 시작 / STX-전송 시작 / SYN-동기 문자 / DLE-투과성을 위해 삽입

프로토콜

논리 -> 물리 (ARP)

물리 -> 논리 (RARP)

RTP(Real-Time Trasport Protocol) : 실시간 특성을 가지고 종단간 전송을 제공해주는 UDP 기반의 프로토콜

OSI 7계층

1 물리 계층 - 단말 장치(DTE)와 패킷 교환망(DCE)간의 물리적 접속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의

2 링크 계층 - ‘데이터 링크’의 제어를 수행

3 네트워크 계층 -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

4 전송 계층 -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TCP,UDP,RTP,RTCP)

5 세션 계층 - 송, 수신 측 간의 관련성 유지

6 표현 계층 - 응용계층과 세션계층간의 변환 기능

7 응용 계층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TELNET,FTP,SMTP,SNMP,HTTP,DNS,WAP)

오류 수정 방식

FEC 전진오류정정 - 재전송 요구 없이 수신측에서 스스로 오류검사 및 수정하는 방식(블록 코드,컨볼루션 코드)

BEC 후진오류수정 -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송신 측에 재전송 요구

라우팅 프로토콜

RIP :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벨만 포드 알고리즘)

OSPF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있을때 변화된 정보만 모든 라우터에 알림(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Link-static방식

BGP : 자율 시스템간의 프로토콜

전송

동기식 전송 : 송 수신측 타이밍을 맞추어 전송 / 전송효율과 전송속도가 높아진다.

비동기식 전송 : start-stop 방식

  • 한 문자를 나타내는 부호 앞 뒤에 Start bit와 Stop bit를 붙여서 byte 단위로 구별하여 전송

  • framing error는 송수신 측에 샘플링 시점이 달라 발생하는 오류

  • start bit와 stop bit 사이에 더 많은비트를 전송함으로써 오버헤드는 줄일 수 있으나 framing error 증가

접속규격

x시리즈 - 공중 데이터 교환망(PSDN)을 통한 DTE(사용자측의 데이버 수발신 장치/컴퓨터)/DCE(통신 네트워크/모뎀) 접속 규격

x.4 : 패킷형 터미널 전송 규격

x.20 : 비동기식 전송 규격

x.21 : 동기식 전송 규격

x.25 : 패킷 전송 규격

IPv4 - IPv6 전환 전략 Dual Stack : 하나의 시스템에서 IPv4와 IPv6를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

Tunneling : 기존 IPv4망을 전달망으로 사용/ IPv6 망을 연결시켜주는 기술

Header translation : IPv4망과 IPv6망 사이의 연동 기술

패킷 교환망의 기능

Flooding : 범람경로 제어

Static Routing : 고정경로 제어

Adaptive Routing : 적응경로 제어

Random Routing : 임의경로 제어



정보처리기사cs Share Tweet +1